공시가격 현실화 '윤곽' 거품 드러나나
2월 주택매매거래량 전년比 37.7% ↓

사진 = 뉴시스

[월요신문=지현호 기자] 부동산시장에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주택 매매는 줄고, 전·월세만 늘어나는 형국이다. 집값이 더 내려갈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수자도 매도자도 주택 거래에 소극적인 분위기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월 신고일 기준(거래일로부터 60일 이내) 전국 주택매매거래량은 4만344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7.7%나 감소했다.

이는 2013년 1월(2만7070건) 이후 가장 적은 거래량이다.

그야말로 거래절벽 현상이 발생한 셈이다. 특히 서울은 4552건에 그치며 전년 동월보다 74.3%나 거래가 줄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역시 54.6% 감소한 1만8390건에 불과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만8293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2.7%나 감소했고, 연립·다세대는 8692건으로 28.2% 줄었다. 단독·다가구는 6459건으로 21.2% 감소했다.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2011년 1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매 수요가 전월세시장으로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은 18만714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했다. 

서울은 6만2252건으로 17.1% 늘었고, 수도권은 11만9183건으로 12.7% 증가했다. 지방도 6만7957건으로 16.2% 늘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14.3% 증가한 8만8235건을 기록했고 아파트 외는 9만8905건으로 13.6% 상승했다.

이처럼 거래 자체가 급감한 것은 매도자와 매수자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매수자들은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이란 기대감에 관망세를 보이고 매도자는 일정 호가 이하로는 거래하지 않겠다며 버티고 있다.

실제로 부동산시장 곳곳에서는 매도자간 '담합'이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다. 일부 아파트에서는 인터넷 커뮤니티와 입주자회의 등에서 집주인간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담합하는 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집값 하락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정부는 집값 거품이 여전히 심하다고 보고 이른바 '공시가격 3종' 인상에 나섰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표준지 공시지가에 이어 공동주택 공시가격까지 '핀셋 인상'으로 공시가격 현실화를 노리고 있다. 

공시가격 인상안이 모두 발표되면서 시장의 우려는 더 심화됐다. 그간 집값 상승을 주도한 고가아파트 소유자를 중심으로 세금 부담이 대폭 늘어나고 다주택자에 대한 압박도 커질 수 밖에 없어서다.

실제로 서울의 공동주택 공시지가 상승률은 평균 14.17%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은 5.2%다. 자치구별로는 재개발·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용산구가 17.98%나 올랐고, 뉴타운과 개발 호재가 있는 동작구가 17.93% 증가했다. 성동구도 16.28% 급등했다. 강남4구는 평균 15.41% 상승했다. 서초구 16.02%, 강남구 15.92%, 송파구 14.01%, 강동구 15.71%다.

이처럼 공시지가가 상승하면서 다주택자들이 보유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택 매도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경우 주택 거래량과 공급 증가로 인한 집값 하락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집값 급등을 경험한 만큼 이들이 주택 처분 대신 증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실제 거래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