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지난달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월요신문=윤주애 기자]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최근 몇 달간의 물가 흐름에 대해 "디플레이션 징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 차관은 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9월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작년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것의 기저효과가 작용한 결과"라며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과거 4년 평균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면 9월 물가 상승률은 1% 수준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의 경우 1.4%, 9월에는 2.1%였다. 물가 상승률이 폭염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 등에 기인했다.

김 차관은 농산물 가격 하락, 국제유가 하락 등 외에 건강보험 적용 확대, 고등학교 3학년 대상 무상교육 등 복지정책 확대 등 정책적 요인도 물가 하락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통계청은 '소비자물가 동향'을 통해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5.2(2015년=100)로 1년 전보다 0.4% 하락했다고 밝혔다. 올해 8월에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0.038% 하락했다. 공식 상승률이 0% 보합에 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렇게 하락한 것은 1960년대 이후 처음이다.

김 차관은 "일각에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나 물가수준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해서 광범위하게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미국(1930년대), 일본(1990년대)이 디플레이션을 경험했을 때에는 물가하락이 3∼7년간 지속했으나 한국은 2∼3개월가량의 물가하락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일본은 디플레이션 기간 조사대상 품목의 약 60%가 가격이 하락하는 등 저물가가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나 한국의 경우 2012년 이후 하락 품목 비중이 20∼30%로 나타났다.

김 차관은 또 "디플레이션은 물가하락에 따른 소비지연이 함께 나타나지만, 소매판매 지수는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회의에는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 윤태식 기재부 국제금융국장, 황인선 기재부 민생경제정책관, 김동곤 기재부 물가정책과장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