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은 글로벌 B2B를 겨냥하는 '만능 김치 요리용 소스'를 12개국으로 수출한다. 사진=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글로벌 B2B를 겨냥하는 '만능 김치 요리용 소스'를 12개국으로 수출한다. 사진=CJ제일제당

[월요신문=김나연 기자] CJ제일제당은 쉽고 간편하게 김치 요리를 할 수 있는 ‘만능 김치 요리용 소스’를 유럽 등 12개국으로 수출해 내달 초부터 본격 유통한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글로벌 기업 간 거래(B2B) 시장 공략을 위해 글로벌 B2B용으로 우선 출시됐다. 영국·프랑스·일본 등에 수출해 현지 아시안·에스닉 식당 중심으로 김치맛 요리가 제공될 예정이다.

국적 불명의 케이(K) 푸드가 아닌 한국 전통음식 기반의 ‘제대로 된 한식, 김치 요리’로 해외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K 푸드 경험률이 높은 현지 외식과 급식, 호텔 등에서 메인·사이드 요리에 접목해, 소비자와 거리를 좁힐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향후 자연스럽게 글로벌 가정용 제품 출시로 이어 나갈 전략이다.

김치는 글로벌 식자재 시장에서 발효를 통한 건강하고 시원한 맛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숙성과 맛 변화, 유통·보관의 불편함 등으로 글로벌 시장의 대중화에 한계가 있었다. 해당 소스는 글로벌 사업자들이 김치맛을 그대로 살린 메뉴들을 쉽고 간편하게 고객에게 서비스해 ‘김치 요리의 글로벌 대중화’라는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제품은 국내외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이 소스는 안정된 맛 품질과 범용성이 강점으로, CJ만의 독자적인  신발효 기술이 적용됐다. 재료들을 넣고 발효 과정을 컨트롤해 잘 익은 김치 고유의 시원한 맛과 풍미를 유지하면서도 맛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18개월 실온 유통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지난달 말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글로벌 푸드 서비스 기업 간 거래 시장은 지난해 약 4500조원 규모로, 최근 5년간 40%가량 성장했다. 학교·군·병원 급식 등 타 경로를 포함하면 시장은 훨씬 더 커진다. 이 가운데 아시아 요리가 포함된 카테고리 규모는 매년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말 글로벌 기업 거래 전문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사업을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도 미주,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로 ‘제대로 된 한식 김치 메뉴’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