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의 한 음식점 출입문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문. 사진=성동구
성동구의 한 음식점 출입문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문. 사진=성동구

행정안전부는 18일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마감일인 지난 12일까지 전체 대상자의 99%인 5008만여 명이 신청해 총 9조693억원이 지급됐다"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금액은 6조177억원이며, 지난 14일을 기준으로 이 중 88.1%에 해당하는 5조2991억원이 실제 사용됐다.

업종별 사용 비중은 ▲음식점 40.3% ▲마트·식료품 15.9% ▲편의점 9.5% ▲병원·약국 9.1% ▲학원 4.1% ▲의류·잡화 3.6% 순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소비쿠폰 지급이 소비심리를 끌어올리고 소상공인들의 경기 전망을 개선하는 효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소비자심리지수는 지급이 시작된 7월 2021년 이후 최고치인 110.8을 기록했고, 8월에는 7년 7개월 만의 최고 수준인 111.4로 집계됐다.

소상공인·전통시장의 체감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역시 8월과 9월 전망 모두 올해 최고치를 보였다. 소상공인(77.0%)과 전통시장(89.3%)은 경기 호전 요인으로 ‘정부 지원 증대’를 가장 많이 꼽았다.

소매판매액 지수도 7월 기준 전월 대비 2.5% 증가해 2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상인연합회의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지급 이후 매출이 늘었다"고 답했다.

한편 일부 소비자들은 쿠폰으로 구매한 커피, 간식, 생필품을 소방서나 보육원에 기부하는 등 지역 공동체를 위한 가치소비로 이어지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지급을 통해 골목상권과 지역 공동체를 살리는 가치소비가 한층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