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이 '항공소재개발연합' 기술교류회를 열고 국내 52개 기관과 협력해 항공소재 228종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약 715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이 '항공소재개발연합' 기술교류회를 열고 국내 52개 기관과 협력해 항공소재 228종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약 715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6일 사천 본사에서 '항공소재개발연합'의 국산화 개발 성과 발표 및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2019년 국내 항공우주산업 발전과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출범됐고 현재는 경상대학교, 한국재료연구원, 소재/부품 제조사 43사를 포함해 총 52개 업체·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기술교류회에서는 산학협력 강화를 위해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울산대학교 3개 대학이 기술협력협약을 체결하면서 항공소재개발연합에 동참했다.

KAI는 소재 국산화를 추진한 결과, 알루미늄 압출재와 티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69여 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9여 종 등 현재 총 228종의 국산화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특히 국산화 소재를 KF-21 및 양산기 등에 적용해 715억원의 누적 수입 대체 효과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항공용 소재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와 내구성, 내열성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 레이더, 엔진, 스텔스 기술 등과 함께 기술이전이 제한되는 핵심기술로 분류된다.

KAI는 오는 2030년까지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종(900여 종)을 국산 소재로 대체해 약 1조3000억원 상당의 수입 대체 효과 목표 하고 있다. / 월요신문=김윤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