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최저임금 이상의 기본급 지급 및 명절휴가비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권역별 릴레이 총파업에 나섰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20일 오후 여의도 국회 앞에서 파업대회를 열고 “교섭 파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권역별 릴레이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최대 규모 조직의 파업”이라고 규정했다.
이날 집회에서 참가자들은 ‘차별을 끝내자’, ‘집단임금교섭 승리’, ‘저임금 차별, 투쟁이 답이다’와 같은 문구들이 쓰여진 손피켓을 들고 국회 앞 도로를 가득 메웠다.
연대회의는 ▲최저임금 이상의 기본급 지급 ▲중앙행정기관·지자체 공무직과 동일 기준인 기본급 120% 명절휴가비 지급 ▲방학 중 무임금 생계대책 제시 ▲학교 급식실 고강도 위험노동 대책 마련 ▲합리적 임금체계 개편을 위한 정부 주도 협의기구 설치 및 노사 공동 직무분석 실시 등을 핵심 요구로 제시했다.
연대회의에 따르면 현재 중앙행정기관·지자체 공무직은 정규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명절휴가비를 기본급의 120% 수준으로 받고 있지만, 교육청 공무직에게는 이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올해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연대회의가 진행한 '2025년 집단임금교섭'은 실무교섭 4회, 본교섭 4회로 나뉘어 진행됐으나 협상 타결에 이르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대회의 측은 “총파업 직전 마지막 4차 교섭에서도 저임금 구조 개선 의지가 없는 명절휴가비 연 5만원 인상안만 제출했다”며 “기본급 인상액도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등 오랜 기간 저임금 구조 개선을 바란 노동자를 무시했다. 교육감을 비롯한 교육관료들이 노조를 총파업으로 내몬 것”이라고 맹렬하게 비판했다.
권역별 릴레이 파업은 20일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 지역부터 시작된다. 파업 이틀 째인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 다음 달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 5일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 등으로 하루씩 순환 파업이 이어질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파업 기간 4일 동안 연인원 4만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대회의는 “학부모와 학교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파업권과 그 효과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 릴레이 방식의 파업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최 측은 이날 집회에 4000~5000명가량의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가 참석한 것으로 추산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