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가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와 함께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잡코리아는 정규직 채용 플랫폼 분야에서 가장 많은 MAU(월간 누적 활성 이용자 수)를 기록한 서비스로 꼽혔다.
올해 1~3분기 잡코리아에는 총 1545만여 명이 방문했다. 이는 ▲S사(1439만) ▲R사(735만) ▲I사(117만) ▲W사(76만) 등 경쟁사보다 높은 수치다.
앱 신규 설치 건수에서도 압도적 모습이었다. 잡코리아는 3분기까지 총 219만여 회의 신규 설치 건수를 기록하며 정규직 채용 플랫폼 중 50%가 넘는 비중을 보였다. 늘어난 이용률만큼 개인회원 수도 전년대비 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의 이런 성장 비결은 지난해부터 이어온 채용 본질에 기반한 AI 서비스들의 공격적 론칭이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최초로 출시한 자체 생성형 AI 솔루션 '룹(LOOP Ai)'을 필두로 최근 '추천 2.0' 서비스를 고도화하며 구직자와 기업의 일자리 연결 기능을 강화했다. 다양한 AI 서비스의 도입으로 구직자들의 입사지원 수는 작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나며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AI·하이테크 등 떠오르는 IT 직군과 대기업·공공기관 중심의 인기 공고를 별도로 모은 큐레이션 서비스도 큰 인기를 끌었다. 자신의 관심 직무별 맞춤 공고를 찾을 수 있어 입사 지원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이외에도 구직자 향 콘텐츠·커뮤니티 서비스를 연이어 강화하며 일자리 매칭과 커리어 인사이트 전달에도 힘썼다.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알바몬도 아르바이트 부문 MAU 및 신규 앱 설치 건수 모두 경쟁사 대비 높았다. 특히 올해 10개월 간 방문한 이용자 수는 3000만 명을 훌쩍 넘었다. 알바몬은 최근 공고 기반 자유로운 문답이 가능한 AI 에이전트 '알바무물봇'을 선보인데 이어 산업·업종별 구분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전면 개편하는 등 채용 서비스 제공 범위의 폭을 대폭 확장해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 업계에서도 모바일 중심의 채용 서비스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 세계적 경기 둔화로 구직자의 행동이 신속한 탐색과 즉시 지원이 가능한 모바일 채널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에 따르면,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국내 민간 고용 앱 중 상반기 다운로드·MAU 모두 1위를 기록했으며, 리포트는 채용 앱 다운로드가 국내외에서 동시 증가하는 흐름 속에서 두 플랫폼이 모바일 고용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내년 30주년을 앞둔 잡코리아는 더 많은 구직자들과 기업 간 일자리 연결을 목표로 자체 AI 에이전트 고도화 및 데이터 기반 신규 서비스 론칭에 더욱 주력할 예정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국내 대표 채용 플랫폼으로서 AI와 디지털 전환 흐름을 선도하는 종합 HR테크 파트너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 월요신문=편슬기 기자
- AI로 채용 전 과정 연결...잡코리아, '풀 사이클 자동화' 체계 구축
- 잡코리아, 이력서 업데이트 하면 '1:1 멘토 코칭' 무료
- "딱 조회수만큼 비용 낸다" 잡코리아, 스마트핏 상품 출시
- “퇴근 후 카카오·토스·배민과 대화” 잡코리아 'AI 커리어 밋업' 성료
- 나인하이어, 무료 HR 파트너 혜택 '채용 스타터' 이벤트
- 빈익빈, 부익부 편중되는 HR 업계
- 연준·트럼프 한마디에 韓美 증시 롤러코스터
- KB국민은행, 박은빈과 함께한 "일 잘하는 퇴직연금" 광고 공개
- "대화만으로 송금한다" 카카오뱅크, 'AI 이체' 출시
- 펩트론, 22.9% 하락 'VI 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