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산업계의 AI 변화 속도에 맞춘 실효성 있는 교육을 원하는 다양한 수요에 맞춰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KT 판교 사옥에 AI 전문 교육 공간인 ‘AI Campus’를 개소하고 실무형 AI 기반 업무 전환(AX) 역량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KT는 대한민국 AI 역량 강화를 위한 ‘AI 인재양성 이니셔티브’ 목표 아래 전문 교육장과 체계적인 AI 커리큘럼을 준비했다. ‘AI Campus’는 약 400평 규모, 6개의 대형 교육장과 2개의 비대면 강의 스튜디오를 갖춘 하이브리드 교육 시설로 교원과 주니어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했으며, 최근 협력사 직원 교육을 통해 재직자까지 교육 대상을 확장했다.
교육 커리큘럼은 ▲AI Literacy(문해력) 과정’, ▲Gen AI 활용 과정 ▲Gen AI Workshop 과정 으로 이뤄져 있는데, ‘AI Literacy(문해력) 과정’은 생성형 AI 기본 이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개념, 콘텐츠 제작 실습 및 윤리적 AI 활용 등 AI 입문 필수 역량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에 익숙하지 않은 참가자도 기초 개념부터 실제 업무 적용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Gen AI 활용 과정’을 통해 실제 업무 시나리오 기반 실습형 교육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정보 검색 및 수집, 데이터 분석, 문서·콘텐츠 생산성 향상 및 업무 자동화까지 다뤄 교육생들이 자신의 업무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용법을 익힌다.
마지막으로 ‘Gen AI Workshop 과정’을 통해 AI Agent 와 바이브코딩(Vibe coding, LLM에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해 코드를 생성하고, 개발자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 테스트·피드백으로 개선하는 AI 협업 개발 방식)으로 AI 기반 업무 자동화가 가능한 영역을 이해하고 나만의 웹서비스를 구현해보는 등 심화 학습이 가능하다.
KT는 앞으로 온라인 교육을 확대해 전국 어디서나 AI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 월요신문=편슬기 기자
- 이통 3사, PASS 앱 기반 '전자고지 서비스' 출시
- KT 차기 CEO 자리에 지원자만 30명
- KT, 한국형 클라우드 서비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
- KT·한국교원대학교, 교육현장 '디지털 전환' 추진
- KT, 3분기 영업익 5382억…전년 比 16% ↑
- KT, 침해 사고 관련 '네트워크 안전'·'고객 보호' 총력
- "16만전자 간다" KB증권, 삼성전자 목표주가 상향
- 이수페타시스, 신고가 경신...메리츠 증권 "목표주가 16만원"
- 삼성화재, 네이버페이와 빅데이터 기반 MOU 체결
- KT, 디지털브릿지와 'AI 데이터센터 사업' 협력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