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 김다린 기자] “기업의 정상적인 경영 활동이다.”

최근 모 기업 홍보실 관계자가 한 말이다. 이 기업은 올해 실시된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해당하는 기업은 아니었지만, ‘재벌’의 악습을 그대로 따라했다. 오너 일가 회사에 내부 일감을 몰아주고, 고배당 등을 실시해왔다.

기자는 이를 우려해 지적했지만, 해당 기업 측은 “정상적인 경영 활동”이라고 반박했다.

틀린 말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어디까지나 자유로운 경쟁을 바탕으로 둔 시장 자본주주 체제를 따르기 때문이다. ‘한강의 기적’도 이 토대 위에서 탄생했다.

하지만 어딘가 찜찜한 구석이 있다. 1997년 말 IMF를 기점으로 수많은 기업들이 줄도산했다. 새로운 벤처기업도 탄생했지만, 10년도 못가 발병난 기업들이 즐비했다. .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한가지로 단정 지을 수는 없겠지만, 여럿 원인 중 한 가지를 꼽자면 기존 대기업들의 ‘텃새’, 흔히 말하는 ‘갑의 횡포’가 있다. 대기업 계열사끼리 내부 거래를 통해 신규 기업의 진출을 막았고 자신들의 몸집을 더욱 부풀리며 오너의 이익을 극대화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후 기업들 사이에서 최근 ‘사회적 기업’ 바람이 불고 있다. 이 사회적 기업은 단순히 영리 목적이 아닌 사회적 취약 계층의 취업과 환경 문제, 지역 경제 발전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한

   
▲ 김다린 산업팀 기자

다. 

얼마 전 취재차 만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관계자는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활동을 정상적인 경영 활동으로 봐달라고 주문했다.

이는 앞서 모 기업 홍보실 관계자가 말한 ‘정상적인 경영 활동’과는 의미가 다르다. 이 기업 역시 최근 사회적 기업을 표방하며 노후주택 고쳐주기 및 각종 기부활동을 하고 있지만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재정적인 이윤이다.

기업 스스로가 다시 한번 사회적 기업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자신을 돌이켜보는 자세가 필요할 듯 하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