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대책 두 달…"공급정책 결과가 지속성에 영향 줄 것"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월요신문=김덕호 기자] 9·13 대책 발표 두 달 만에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내림세로 돌아섰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쏟아진 정책에도 멈추지 않던 상승 추세가 어느 정도 안정화 되는 양상이다. 다만 올해 급등한 가격에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고, 하락 전환된 총 기간이 짧아 이를 정책의 성과로는 볼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을 통해 현 부동산 시장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해 짚어봤다.

Q. 9·13 대책 이후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하향 안정세로 돌아서고 있다는 자료들이 많다. 어떻게 봐야 할까?

A. 9월 정부의 발표 이후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매매가격 변동률 둔화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서울의 경우 강남, 송파, 서초구 등에서 재건축 중심으로 급매물이 나오기도 한다. 똑똑한 한 채로 주목받던 지역에서도 급매물이 나왔다.

그러나 수요 측면에서 해당 물량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봤을 때 서울 집값은 하향 안정으로 가고 있다고 본다

Q. 9·13 대책 효과가 있었다고 봐도 되는 건가?

A. 아직은 정책의 효과를 판단하기 이르다. 지난 8·2대책에 대한 반추가 필요하다.

지난해 8·2 대책이 발표됐고, 5주 이상 부동산 가격이 하락 전환한 바 있다. 재건축 역시 약세로 전환됐다. 그러나 대책 발표 2개월이 지나자 강남권 주택의 희소성, 저금리 등이 맞물리며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다.

다만 9·13 대책에서 정부가 공급 부문을 강조한 것은 유심히 볼 만 하다. 새로운 공급에 대한 세부 내용이 어떻게 나오는가에 따라 현 기조의 지속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Q. 공급 정책에 대해 유심히 봐야 한다고 했는데, 새로 생기는 신도시는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는가?

A. 정부가 공급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또 정책 자체도 3기 신도시 건설, 서울 내 정비사업 정상화로 방향을 바꿨다.

발표에 따르면 새로 지정되는 신도시에는 도로 및 교통 계획이 포함되고, 직장과 주거 근접성 또한 고려된다.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 대비 입지 여건이 양호한 곳이라는 전제도 달았다. 이러한 부지가 선정된다면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매력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

동탄의 경우 GTX 이슈가 있고, 김포는 도시철도 개통 지연이 문제가 됐다. 신도시 설계에서부터 교통이 고려된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Q. 현재 주택보급률 102~103% 수준이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다는 말이 있다.

A. 주택보급률이 100%를 웃돈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서울만 97% 수준이고, 대부분 지역은 100%를 초과했다.

그러나 가구의 분화, 임대사업자의 대두와 관련해 생각해야 한다. 1~2인 가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이에 시장 내에서 임대사업자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사업목적의 다주택 보유자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부동산 시장 자체는 임대사업자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겠지만 차익 부문은 투기성이 많아 답하기 어렵다.

Q. 임대사업의 수익성이나 오피스텔 분양에 대한 견해는?

A. 금리가 오르게 되면 대출에 대한 이자 부담은 늘어나는 데 반해 월세 인상에는 어려움이 생긴다. 금리 인상은 분명 좋지 않은 이슈지만 현재 오르고 있다. 또 오피스텔 역시 2~3년 사이에 공급이 많았기 때문에 좋게 보지 않는다.

Q. 입주를 앞둔 헬리오시티에 대한 관심이 많다. 시장에 영향 줄 수 있을까?

A. 헬리오시티의 매매가격이나 전셋값은 최근 2~3개월 사이에 약세를 보였지만 현재는 정상화된 것으로 보인다. 준공된다면 대규모 입주가 이뤄지기 때문에 근처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서울 및 수도권 전체가 전반적으로 가격 안정세를 보이기 때문에 하나의 이슈가 송파, 강남, 강동 전체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