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1호기에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한 기자에게 질문 기회를 주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1호기에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한 기자에게 질문 기회를 주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뉴시스

[월요신문=박윤미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4일, 미국행 전용기 안에서 "최종적으로는 현실적이고도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며 회담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일본 도쿄를 거쳐 미국으로 향하는 기내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국가의 공공 이익을 최우선에 두겠다고 스스로 다짐하고 있다"며 "자국 중심주의가 강화된 국제 질서 속에서 우리 국익을 지키기 위해 냉정하고 치밀한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등 복수의 언론에 따르면 이날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의 기술에 대해 직접 책으로 쓴 인물"이라며 "그 방식이 거칠고 힘들겠지만, 충분히 대비 가능하다. 국민 기대를 다 채우지 못하더라도 실망은 드리지 않겠다"며 강한 책임감을 드러냈다.

정상회담 실무 준비에 대해서도 "의제들은 미리 협의되고 있고, 현장에서 갑자기 결정되는 일은 많지 않다"며 "이번 회담도 무리한 수준은 아닐 것"이라고 신중한 전망을 내놨다.

미국이 최근 관세협상에서 제외된 농축산물 시장 개방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선 "이미 타결된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한미 정상이 승인한 사안인데 이를 일방적으로 바꾸자는 건 쉽게 받아들일 수 없다"고도 덧붙였다.

공군1호기에서 기자간담회 중인 이재명 대통령. 사진=뉴시스
공군1호기에서 기자간담회 중인 이재명 대통령. 사진=뉴시스

한일 관계와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과거사는 시정되어야 하지만, 그 때문에 경제·안보·기술협력을 멈출 수는 없다"며 실용적 접근을 재확인했다. "이해와 배려가 깊어지면 더 전향적 조치도 가능할 것"이라며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라는 기대도 내비쳤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친중 논란'에는 "친중도 혐중도 없다.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까이, 아니면 멀리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미일 협력이 중요하지만, 특정 국가와만 가까워선 안 되는 것이 우리 외교의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비핵화는 모두가 지향하는 목표지만, 당장 실현 가능한 건 아니라는 걸 모두 인정하고 있다"며 "일단 멈추고, 축소하고, 폐기한다는 합의는 트럼프와 김정일이 한 것"이라며 미국 측의 합의 이행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언급하며 유사시 대만 개입 가능성을 꺼내들 수 있다는 지적엔 "그런 구체적 요구가 공식 회담에서 직접 나오진 않는다"면서도 "유연성 요구가 있는 건 사실이나, 우리로선 쉽게 동의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는 우리 입장에서도 필요한 사안이지만, 그 단어와 의미를 놓고 조율이 필요하다"며 "협상 과정이 험악하진 않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