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강버스가 잠실 구간 운항 중 강바닥에 걸려 멈추는 사고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서울시와 중앙정부가 잇따라 사과와 안전대책 마련에 나섰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공식 사과하며 관리·감독 강화를 약속했지만, 김민석 국무총리는 한강버스 운항과 관련해 안전체계 전반을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한강버스는 지난 15일 오후 8시30분께 잠실선착장 인근 100m 부근에서 선체가 강바닥에 걸려 운항이 중단됐다. 당시 배 안에는 82명의 승객이 탑승 중이었다.
사고 직후 서울시는 수난구조대를 비롯한 한강경찰대와 한강본부 등 관계 기관에 즉시 신고하고 구조정을 투입했다. 오후 9시14분께 승객 전원은 잠실선착장으로 이송됐고,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오세훈 시장은 16일 자신의 SNS에 "주말을 맞아 한강버스를 선택해주신 시민 모두 소중한 일상과 사정이 있으셨을 텐데, 예상치 못한 일로 큰 불편을 겪으셨을 것"이라며 "불안과 불편을 끼쳐드려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관리 감독기관으로서 원인을 철저히 파악해 부족한 부분은 신속하게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또 "서울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에 두겠다"며 안전 최우선 원칙을 거듭 강조했다. 동시에 "다만 안전 문제를 정치 공세의 도구로 삼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필요한 것은 냉정한 점검과 실질적인 개선이라고 강조했다.
글 끝에 오 시장은 "한강버스가 시행착오들을 개선해 시민의 일상에 온전하게 정착할 때까지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적었다.
김민석 국무총리도 같은 날 한강버스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에 운항 안전체계를 전면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국무총리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한강버스 선착장 위치 선정 및 운항 노선 결정 시 한강 지형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포함한 운항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김 총리는 특히 이번 사고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되는 얕은 수심 문제와 관련해 "한강버스 운항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과 그 대응 방안을 상세하게 분석해 조치하라"고 주문했다.
김 총리는 또 "서울시와 행정안전부는 한강버스 운항 중 좌초, 침몰, 화재 등 사고가 발생했을 때 모든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응체계가 갖춰졌는지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서울시에는 한강버스 선박과 선착장, 운항 노선의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고, 필요할 경우 한강버스 운항 일시 중단 기간 연장 등 추가적인 승객 안전 확보 방안도 검토해 시행할 것을 요구했다.
서울시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시민에게 사과하고, 사고 선박과 운항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시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선착장 위치, 항로 설정, 수심 관리, 비상 대피 절차 등 운항 전반의 안전 시스템을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오는 19일 오후 7시 만조 때에 맞춰 선박을 이동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점검 조치를 완료할 때까지는 압구정~옥수~뚝섬~잠실 구간은 운항 중단하고, 한남대교 남단 마곡~여의도 구간만을 운항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한남대교 상류 항로 수중 탐사, 저수심 구간 토사퇴적 현황 확인, 부유물 및 이물질 제거, 선기장 교육 강화 등 안전조치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