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랩스 유럽(NAVER LABS Europe)은 11월 20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양일간 제4회 ‘AI for Robotics’ 워크샵을 개최했다. 2019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는 본 워크샵은 전 세계 로보틱스 및 AI 분야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로봇이 사람처럼 세상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한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한다.
◆ ‘공간지능(Spatial AI)’ 주제로 열린 워크샵
올해 워크샵은 ‘공간지능(Spatial AI)’을 주제로 진행됐다. 공간지능 개념을 처음 제안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앤드류 데이비슨(Andrew Davison) 교수를 포함해 150여 명의 연구자가 참석해, 공간지능이 로봇의 인지·판단·행동 능력을 어떻게 고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신 연구를 공유했다.
공간지능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넘어, 사물이나 사람의 위치, 움직임, 관계 등을 바탕으로 현실 세계의 맥락까지 이해하는 AI 기술이다.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은 3D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델링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더 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 유럽의 마틴 휴멘버거(Martin Humenberger) 연구소장은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연구 방향을 소개하며 새로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기존 모델의 개선·통합을 통해 비전문가도 실제 환경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지능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랩스 이동환 리더는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하는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들이 로봇, AR/VR, 스마트시티 등 실제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되는 사례와 향후 비전을 공유했다.
◆ 네이버랩스 유럽, ‘더스터2’, ‘애니’ 등 신규 AI 모델 소개
네이버랩스는 이번 워크샵에서 로봇의 공간 및 사람 이해 능력을 한층 확장하는 AI 모델 ‘더스터2(DUSt3R-2)’와 ‘애니(ANNY)’를 소개했다.
2023년 12월 최초 공개된 ‘더스터(DUSt3R)’는 한 장의 사진만으로 공간을 3D로 재구성하는 3D 비전 모델이다. 이를 로봇에 적용하면 사전에 제작된 지도 없이도 로봇이 새로운 공간을 빠르게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번에 소개된 차세대 모델 ‘더스터2’는 다양한 파생 연구를 통합하고 상용화를 고려한 버전으로, 로보틱스는 물론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주목된다.
또한, 3D 바디 모델 '애니(Anny)'는 다양한 파라미터로 사람의 신체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이다. MakeHuman 커뮤니티의 인체 계측 데이터와 WHO 인구 통계를 활용해 개인정보 침해 없이 아이부터 노인까지 전 세계 다양한 인체 특성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 월요신문=편슬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