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됐던 '전자정부 서비스'가 일부 복구되고 있으나, 여전히 주요 부처의 업무 차질은 계속되고 있는 모양새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전체 647개 서비스 가운데 73개가 정상화됐다. 정부24, 나라장터, 우체국 예금·보험·우편, 복지로·사회보장정보포털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들이 속속 재개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모바일신분증은 사용은 가능하지만 신규 발급은 여전히 중단 상태다.
정부 업무포털 ‘온나라시스템’ 또한 현재까지 복구되지 않아 공직사회의 정책 결정과 물품 구매, 인허가 등 전반적인 행정 결재에도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 공무원 전용 ‘공직자통합메일망’ 또한 대부분 복구됐으나 내부 결재 체계는 여전히 불안정한 것으로 보인다.
◆ 재정·민생 관련 부처
기획재정부는 국가재정정보시스템(디브레인),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시스템(e나라도움) 등 재정 핵심 시스템을 복구해 국세 납부와 보조금 집행은 정상화됐다. 다만 기재부 홈페이지는 여전히 접속이 불가능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국민신문고·정보공개포털 중단에 따라 전자우편·우편 접수를 안내하고, 기업지원플러스(G4B) 대체 사이트를 운영 중이다. 추석 자금 대출을 위한 오프라인 서류 접수 확대, 서류 간소화 등 금융 지원책도 마련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공익직불금·바우처 신규 등록 등이 중단돼 일부 농업·농촌 지원 서비스가 차질을 빚고 있다.
◆ 경제·산업 관련 부처
산업통상자원부는 전자결제 불능으로 수기 문서 대장을 작성하며 긴급 문서부터 처리하고 있다. 한미 관세 협상 등 긴급 출장이 필요한 경우 항공권·숙박비 결제가 원활치 않아 애로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토지대장 등 민원서류 8종을 온라인 발급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등 4개 시스템이 여전히 중단돼 민원인이 직접 관청을 방문해야 한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 접속에도 장애가 있으나 다행히 현재까지는 물류 대란으로 이어지진 않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과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을 복구했으나 자체 웹사이트는 불통 상태로, 대신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사회·안전·기타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업무포털과 내부 메신저가 작동하지 않아 문서·회의자료 공유에 불편이 발생하고 있으며, 소관 행정정보시스템 19개 중 5개가 중단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전 운영에는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으며, 별도 홈페이지를 통해 원자력·방사선 안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신문고 장애에 따라 자체 ‘식의약 국민신문고’, 팩스·방문 접수 창구를 운영 중이다. 기존 접수 건 확인은 어려워 신속 처리가 필요한 경우 재신청이 필요하다.
우주항공청은 서버가 대구센터에 있어 화재 영향을 받지 않아 정상 운영 중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대표 홈페이지·개인정보 포털 등 7개 누리집 서비스가 중단돼 있으며, 내부 업무망 복구도 지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 전산망 마비로 출퇴근 기록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아 일부 부처에서는 수기 장부로 직원 근태와 초과근무 시간 등을 기록하는 임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러한 복구 상황을 포털 공지와 보도자료를 통해 실시간 안내하고 있으며, 서비스 정상화 전까지 110콜센터, 120콜센터 등 합동 민원센터와 전담 지원반을 운영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 주민등록등·초본 수수료 나흘 간 면제…“국정자원 화재 대응 차원”
- 국정자원 화재로 법제처 6개 시스템 중단...'비상근무체제' 돌입
- 금융권,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2차 긴급 대응회의 개최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여파 속 30개 정부 서비스 복구…우체국 금융·모바일 신분증 등 포함
- 이재명 대통령 "엉터리 많다”…전 부처 시스템 전면 점검 지시
- 외교부, 30일 여권 개별 우편배송 서비스 재개…“전과 동일”
- 정부, 국정자원에 ‘현장상황실’ 설치…윤호중 “끝까지 책임지고 복구”
- 모두싸인, 국가 전산망 화재 대응해 공공부문 지원
- 국정자원 화재 담당 공무원, 정부세종청사서 투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