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SKT)은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조직개편 및 임원 인사를 13일 단행했다. 특히 이번 인사는 'MNO(통신)'와 'AI' 양대 CIC(사내회사) 체제를 중심으로한 개편이 핵심이다.
'MNO CIC(한명진 CIC장)'는 마케팅, 엔터프라이즈(B2B) 사업, 네트워크 등 인프라 영역의 AT/DT 실행력을 제고하는 조직으로 구성하는 한편, MNO의 AT/DT를 가속화해 기존 사업과 유기적인 연계성을 꾀하는 등 본원적 경쟁력 강화(O/I)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9월 출범한 'AI CIC(정석근, 유경상 CIC장)'는 공동 CIC장을 중심으로 실질적 사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핵심 사업과 기술 중심의 역량 결집에 나선다.
사업 영역은 에이닷 사업을 중심으로 한 B2C, B2B AI, 디지털플랫폼사업, AI DC 등으로 재편해 실질적인 AI 사업 성과 창출을 가속화한다.
기술 영역은 플랫폼과 서비스 등의 개발을 담당하는 플랫폼과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개발하는 AI 모델을 중심으로 개편해 AI 기술 경쟁력 확보와 실질적인 사업 지원에 나선다.
양대 CIC를 지원하는 스태프 조직은 현업을 밀착 지원하는 전문가 조직으로 개편된다.
통합보안센터는 조직과 인력을 지속 확충해 보안 역량 강화를 주도하고, CR(대외협력)과 PR 기능을 통합한 Comm(콤)센터를 신설한다. 이와 함께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GC(General Counsel)센터를 신설하고, 코퍼레이트(Corporate)센터는 기존 CFO 역할에 전략 기능을 통합한다.
SKT에 따르면 이번 인사 개편은 양대 CIC 체제에서 실질적인 사업 성과와 회사의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실행력과 전문성을 두루 갖춘 인재 발탁이라는 기준에 따라 임원을 선임했다는 설명이다.
SKT 정재헌 CEO는 "CIC 체제는 MNO와 AI 각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업무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MNO 사업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 신규 임원 승진 (11명)
▲김석원 MNO CIC Product&Brand본부 Brand담당
▲김우람 Comm센터 대외지원실장
▲김태희 Corporate센터(CFO) 주주가치혁신실장
▲신상민 Comm센터 정책개발실장
▲안홍범 MNO CIC Network센터 Network AT/DT담당
▲이정민 서비스탑 대표
▲최종복 Comm센터 미디어Comm실장
▲최훈원 CSPO 안전보건실장
▲김영범 SKB Corporate센터 PR실장
▲박상훈 SKB Network센터 Network솔루션담당
▲신범식 SKB AT/DT센터 AT/DT개발담당
- 신세계그룹·알리 합작법인, 이사회 구성...정용진 회장 초대 의장 맡는다
- 삼성전자, 사업지원TF장에 박학규 사장 선임....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역으로 이동
- 정재헌 CEO, "SKT를 글로벌 AI 인프라 사업자로"
- 통신사 대격변 조짐…SK텔레콤 이어 KT도 대표 교체
- SKT, T1 팬미팅 진행…월즈 3연속 우승 기념 '감사 이벤트' 실시
- KT 차기 CEO 자리에 지원자만 30명
- 이통 3사, PASS 앱 기반 '전자고지 서비스' 출시
- 최태원-젠슨 황, 경주 이어 또 만날까?
- 삼성전자, DX부문 CTO 겸 삼성리서치장에 윤장현 부사장 선임
- 삼성벤처투자 인사 발표…이종혁 신임 대표이사 부사장 내정
- 삼성전자, 전영현·노태문 'DX·DS 투톱 체제' 구축
- SK, 올해 수출액 120조원 전망…'역대 최고치'
- 삼성전자·SKT, 6G AI-RAN 기술 공동 개발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