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에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 친화형 아파트'를 제안했다.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에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 친화형 아파트'를 제안했다.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에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 친화형 아파트'를 제안했다고 10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단지 설계부터 로봇 운용을 고려해 동선과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이를 위해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그룹사 역량을 집결해 입주민의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및 주차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로 발전시키겠다고 전했다.

'로봇 친화형 아파트'는 엘리베이터, 자동문, 통신망 등을 로봇과 연동해 단지 내 전 구간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동 경로 확보와 IoT(사물인터넷) 기반 관제 시스템 적용으로 로봇이 층간 이동과 문 개폐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지 외부 도로에서 세대 현관까지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단지 내부에는 현대차·기아의 '셔클'이 적용된 무인 셔틀이 운영된다. 셔클은 현대차그룹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Mobility On Demand) 서비스 플랫폼으로, 실시간 승객 수요에 따라 노선과 운행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맞춤형 이동 서비스가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도 도입된다. 소형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무거운 짐을 집 앞까지 배송한다. 향후 다양한 솔루션과 결합하여 거동이 불편한 입주민이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을 찾을 때 안내와 함께 이동하는 기능까지 확대될 수 있다. 

입주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해서는 '무인 소방 로봇(현대로템)'이 있다. 고온과 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투입이 가능하고,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통해 소방 인력 진입이 제한되는 화재 현장에서도 신속히 대응해 입주민의 안전을 지키고 피해를 최소화한다.

단지 내에는 '전기차 충전 로봇'도 도입된다. 차량이 충전 구역에 진입하면 로봇이 충전구를 열고 케이블을 연결해 충전을 시작하며, 완료 후 자동으로 케이블을 분리하고 차주에게 알림을 보낸다. 충전 과정에서의 과열이나 사고 위험은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설계됐다. 상가 주차장에는 '발렛 주차 로봇(현대위아)'이 적용된다. 지정된 위치에 차량을 세워두면 로봇이 바퀴를 들어 올려 빈 공간에 주차시키는 방식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이동 편의와 안전, 전기차 충전과 주차까지 고려한 로봇 솔루션을 적용한 첫 사례"라며 "로봇과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주거 환경 조성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 월요신문=김윤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